인공지능 AI

한국 AI 신약 개발의 위기와 글로벌 격차: 투자 감소와 협업 부재. 어쩌나?

myinfo3482-1 2025. 5. 14. 13:58

2025년 5월 14일, 이데일리 기사(석지헌 기자)는 한국 AI 신약 개발 업계가 투자 감소와 글로벌 협업 부족으로 후퇴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글로벌 시장에서 AI 신약 개발은 활발히 성장 중이지만, 한국은 투자 한파와 성과 부진으로 존재감이 약화되고 있다. 이하에서는 기사 내용을 데이터와 함께 정리하고, 한국이 나아갈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https://designer.microsoft.com/image-creator?scenario=texttoimage

한국 AI 신약 개발의 위축과 투자 한파

한국 AI 신약 개발 업계는 초기 기대와 달리 글로벌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내지 못하고 있다. 투자 감소와 성과 부진으로 “뒷걸음질”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스타트업 투자 분석 기업 더브이씨(The VC)에 따르면, 2025년 1분기 국내 AI 스타트업 투자액은 1949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9% 감소했다. 바이오 헬스케어 분야도 30% 줄었다. AI 신약 개발 기업 수는 2022년 52개에서 2025년 30개로 급감했다(출처: The VC, 2025년 5월).

대표적 사례로, 엔젠바이오(354200)는 2023년 설립한 미국 자회사 엔젠바이오AI를 매각 중이다. 엔젠바이오AI는 AI 분석 플랫폼으로 단백질체 CRO 사업을 운영하며 고성능 질량분석장비를 보유했지만, 투자 비용 부담으로 야트리바이오에 자산을 양도하고 지분을 취득하는 계약을 추진한다. 최대출 대표는 “모회사 존립이 위태로워 매각을 결정했다”며 연간 35억 원 고정비 절감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2024년 엔젠바이오 매출은 57억 원, 영업손실은 161억 원이었다(출처: 엔젠바이오 공시, 2024년).

코믹 포인트: 엔젠바이오가 “글로벌 신약 꿈!” 외쳤지만, 지갑이 “돈 없어, 꿈 접어!”라며 브레이크 건 모습!

국내 AI 신약 개발사의 흔들리는 입지

국내 AI 신약 개발 선두주자들도 어려움을 겪는다.

  • 스탠다임: 누적 800억 원 이상 투자 유치로 주목받았지만, 2025년 임직원을 80명에서 27명으로 대폭 감축했다. 2021년 싱가포르 파빌리온 캐피탈로부터 1000만 달러(약 112억 원) 투자받은 이후 추가 글로벌 협업이나 자본 유치는 없었다(출처: 이데일리, 2025년 5월 14일).
  • 신테카바이오(226330): AI 신약 개발 상장사로 주목받았으나, 2024년 매출은 1억 원에 그쳤다. 인건비, 마케팅, 서버 증설 등으로 영업비용은 140억 원까지 늘었다. 2025년 4월 미국 프래그마 바이오사이언스와 45억 원 규모 계약(신규 화합물 발굴, 리드 최적화, 동물실험 5단계 용역)을 체결하며 플랫폼 신뢰도를 높였으나, 여전히 상업화 성과는 미미하다(출처: 신테카바이오 공시, 2025년 4월).

국내 업체들은 초기 임상(1~2상) 이후 글로벌 제약사에 기술 이전(아웃라이선싱) 의존도가 높다. 3상 임상시험 비용(2500억 원 이상)이 국내 제약사 연간 영업이익(48~125억 원)을 초과해 독자적 개발이 어렵기 때문이다(출처: PMC, 2022년 9월 27일).

 

코믹 포인트: 스탠다임 직원이 “세계 시장 간다!” 외쳤지만, 사장이 “인건비부터 줄여!”라며 구조조정 버튼 누르는 장면!

글로벌 AI 신약 개발의 활황과 한국의 대조

글로벌 AI 신약 개발 시장은 활발히 성장 중이다. 시장 규모는 2025년 69억 달러에서 2034년 165억 달러로 확대될 전망이다(출처: 이데일리, 2025년 5월 14일). 주요 사례는 다음과 같다:

  • 사노피: 2022년 영국 엑스사이엔티아에 2억2000만 달러(2970억 원) 투자, 최대 52억 달러(7조2000억 원) 공동 개발 계약 체결.
  • 바이엘: 2023년 미국 리커전 파마슈티컬스와 정밀 종양학 협업, 최대 15억 달러(2조250억 원) 마일스톤 계약.
  • 화이자: 2018년 엑스탈파이(AI 기반 분자 모델링), 2020년 인실리코 메디슨(머신러닝 타깃 탐색)과 협력.
  • 구글 클라우드: 2024년 리커전과 생성형 AI 기반 신약 개발 플랫폼 강화(출처: 이데일리, 2025년 5월 14일).

미국 FDA와 오픈AI는 AI 기반 신약 평가 가속화를 논의하며 규제 효율성을 높이고 있다(출처: FDA, 2025년 2월 20일). 반면, 한국은 글로벌 협업이 미흡하다. 2021년 이후 스탠다임의 싱가포르 투자 외에 주목할 만한 해외 자본 유치나 빅파마 협업 사례가 드물다.

 

코믹 포인트: 글로벌 빅파마가 “AI로 신약 뚝딱!” 하며 파티 벌일 때, 한국 업체는 “협업 초대장 어디 갔지?”라며 메일함 뒤지는 모습!

글로벌 투자 활황 속 한국의 역성장

글로벌 AI 투자와 달리 한국은 “투자 역성장”을 겪는다.

  • 미국: 2024년 AI 민간 투자 1090억8000만 달러, 전년 대비 62% 증가.
  • 중국: 92억9000만 달러, 28% 증가.
  • 한국: 13억3000만 달러, 4.3% 감소. 스웨덴(43억 달러), UAE(18억 달러), 오스트리아(15억 달러)보다 낮음(출처: 이데일리, 2025년 5월 14일).

AI 신약 개발은 초기 투자와 긴 개발 기간(상업화까지 10년 이상)이 필요해 대부분 기업이 적자다. 글로벌 기업은 빅파마의 마일스톤 페이먼트와 벤처캐피털(VC) 자금으로 버티지만, 한국은 VC 투자 비율이 낮다. 2019년 기준, 바이오 벤처의 7%만 VC 자금을 받았으며, 정부는 제약사 R&D 비용의 6.2%만 지원했다(출처: PMC, 2022년 9월 27일). 투자 위축은 기업 생존을 위협하며, 엔젠바이오AI 매각과 스탠다임 구조조정처럼 자산 축소로 이어진다.

 

코믹 포인트: 미국이 “AI에 돈 퍼붓자!” 하며 현금 뿌릴 때, 한국은 “투자? 글쎄…”라며 지갑 꽉 닫는 장면!

5쪽: 시사점과 한국 AI 신약 개발의 나아갈 길

한국 AI 신약 개발은 투자 감소와 글로벌 협업 부족으로 위기에 직면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1. 투자 활성화: 정부는 100조 원 규모 ‘메가 펀드’를 조성해 3상 임상시험을 지원해야 한다(출처: PMC, 2022년 9월 27일). 2019년 정부 R&D 투자(3910억 원)는 전체의 6.2%에 불과했다. 민간 투자 유도를 위해 세제 혜택과 공공-민간 파트너십(PPP)을 확대해야 한다. 예: 바이오 벤처와 투자자를 연결하는 정기 세미나 개최.
     
  2. 글로벌 협업 강화: 한국은 임상시험 허브로서 강점을 살려야 한다. 2023년 글로벌 임상시험 5.5% 감소에도 한국은 9% 증가, 서울은 세계 1위 임상시험 도시다(출처: KoNECT, 2025년 3월 4일). 빅파마(사노피, 화이자 등)와의 아웃라이선싱 및 공동 연구를 늘리고, KAICD의 AI 플랫폼(2022년 출시)을 활용해 글로벌 연구자 네트워크를 구축해야 한다(출처: Korea Herald, 2022년 3월 30일).
     
     
  3. 규제 개선: 식약처(MFDS)의 IND 심사 기간(30일 기준, 실제 더 길어짐)을 단축해 신약 개발 속도를 높여야 한다(출처: PMC, 2022년 9월 27일). FDA의 AI 기반 규제 가이드라인(2025년 1월)을 참고해 효율적 심사 체계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출처: FDA, 2025년 2월 20일).
     
     
  4. 인재 육성: AI와 신약 개발 전문가를 양성해야 한다. 정부는 2015~2019년 연 3.9% R&D 투자 증가를 넘어, 대학·연구소 중심이 아닌 기업 중심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출처: PMC, 2022년 9월 27일). KAIST·연세대 등과의 협력 사례(폐암 AI 신약 개발)를 확산시켜야 한다(출처: MobiHealthNews, 2024년 11월 18일).
     
     
  5. 글로벌 시장 진출: 한국 제약사는 신규 모달리티(ADC, mRNA)와 디지털 헬스케어로 사업 다각화 중이다. 2024년 오리온의 리가켐 바이오사이언스 인수(4000억 원)는 성공 사례다(출처: Norstella, 2025년 3월 4일). 글로벌 M&A와 협업을 통해 시장 확대를 모색해야 한다.
     

코믹 포인트: 한국이 “AI 신약으로 세계 제패!” 꿈꾸지만, 투자자가 “돈 없어!”라며 도망가자 정부가 “메가 펀드 띄운다!” 외치는 미래!

한국은 임상시험 인프라와 AI 기술로 잠재력을 갖췄다. 투자 확대, 글로벌 협업, 규제 혁신, 인재 육성으로 위기를 기회로 바꿀 때다. 글로벌 AI 신약 시장이 2034년 165억 달러로 성장하는 가운데, 한국이 뒤처지지 않으려면 지금 행동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