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 AI

한국 슈퍼컴 6호기 구축과 글로벌 동향: AI 연구의 단비와 시사점

myinfo3482-1 2025. 5. 14. 14:13

2025년 5월 14일, 뉴스1(신혜정 기자)은 한국의 국가 초고성능컴퓨터(슈퍼컴) 6호기가 휴렛팩커드(HPE)와 3825억 원 계약을 체결하며 2026년 상반기 가동을 목표로 한다고 보도했다. GPU 중심의 첫 국가 슈퍼컴으로, AI 연구 수요를 충족할 전망이지만, GPU 가격 폭등으로 1년 지연되며 활용 기간 단축 우려가 제기된다. 이 기사와 글로벌 동향을 바탕으로 한국의 슈퍼컴 현황, 글로벌 경쟁, 그리고 시사점을 정리한다.

 

https://www.istockphoto.com/kr/search/2/image?alloweduse=availableforalluses&mediatype=illustration&phrase=%ED%95%9C%EA%B5%AD%20%EC%8A%88%ED%8D%BC%EC%BB%B4%ED%93%A8%ED%84%B0%206%ED%98%B8%EA%B8%B0

슈퍼컴 6호기, AI 연구의 구세주로 등장

한국의 슈퍼컴 6호기는 2026년 상반기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국가슈퍼컴퓨팅센터에 구축된다. 주요 사양은 600페타플롭스(PF, 초당 1000조 연산), 205페타바이트(PB) 저장 공간, 400Gbps 네트워크로, 2018년 도입된 5호기(누리온, 25.7PF, 20PB)보다 연산 성능은 23배, 저장 공간은 10배 향상된다(출처: 뉴스1, 2025년 5월 14일). 세계 슈퍼컴 TOP500 기준 6위 수준이며, 10위권 진입이 예상된다(출처: ZDNet Korea, 2025년 5월 14일).

6호기는 GPU 중심(엔비디아 GH200 8346장, H200 160장)으로 설계돼 성능의 98%를 GPU가 담당하며, AI 연구에 최적화됐다. Barriers to entry for AI development include access to computational power, with GPU-based systems like the 6호기 addressing this gap (Barriers to entry for AI development, xAI). 5호기의 CPU 중심(8569개) 설계와 대비된다. 자원의 30%는 AI 연구에 배정되며, 초거대 AI 모델 학습, 고정밀 과학·공학 계산, 데이터 분석 등을 지원한다(출처: 뉴스1, 2025년 5월 14일). HPE는 세계 1위 슈퍼컴 엘 캐피탄(미국, 2.7엑사플롭스)을 구축한 경험으로 신뢰를 얻었다. 계약 규모는 3825억 원(유지보수비 780억 원 포함)이다.

코믹 포인트: 5호기가 “CPU로 힘들게 버텼어…”라며 한숨 쉴 때, 6호기가 “GPU로 AI 혁명 시작한다!”라며 당당히 등장하는 장면!

지연된 가동과 활용 기간 단축 우려

슈퍼컴 6호기는 2022년 예비타당성조사 통과 후 2024년 가동 예정이었으나, 생성형 AI 열풍으로 GPU 가격이 폭등하며 6차례 유찰됐다. 엔비디아 H100 GPU는 개당 4만 달러(약 5300만 원)로, A100(1만 달러)보다 4배 비쌌다(출처: 머니투데이, 2023년 8월 18일). 초기 예산 2929억 원으로는 조달이 불가능해 2024년 예산을 4483억 원으로 53% 증액, 2025년 5월 12일 HPE와 계약을 체결했다(출처: EBN, 2025년 5월 14일).

1년 지연으로 활용 기간 단축 우려가 크다. 글로벌 슈퍼컴 교체 주기는 4~5년인데, 한국은 7~8년이다(출처: 뉴스1, 2025년 5월 14일). 6호기는 2031년까지 운영(총 4483억 원)되지만, 2027~2028년경 엑사플롭스급 슈퍼컴 수요가 생길 가능성이 높다. 김성수 과기정통부 정책관은 “재정 여건에 따라 교체 주기가 빨라질 것”이라 밝혔다.

코믹 포인트: GPU 가격이 “내가 하늘을 뚫어!”라며 치솟자, KISTI가 “예산 좀 늘려줘!”라며 기재부 문 두드리는 모습!

글로벌 슈퍼컴 동향: AI와 엑사플롭스 경쟁

글로벌 슈퍼컴 시장은 AI와 엑사플롭스(초당 100경 연산) 경쟁으로 뜨겁다. 2024년 TOP500 순위에서 미국은 엘 캐피탄(2.7EF, 1위), 프론티어(2EF, 2위), 오로라(1EF, 3위)로 성능의 55.2%를 점유하며 선두다. 이탈리아(7.1%), 일본(8%)이 뒤를 잇는다(출처: 헤럴드경제, 2025년 5월 14일). 수량 기준으로는 미국(172대, 34.4%), 중국(63대, 12.6%), 독일(41대, 8.2%) 순이며, 한국은 성능 10위, 보유 대수 8위다.

  • 미국: 오로라는 신경과학, 암 치료, 우주 연구에 활용되며, 인텔의 보레알리스로 테스트된다(출처: KISTI 과학향기, 2024년 2월 19일).
  • 중국: 바이두, 텐센트 등이 엔비디아 A800 GPU를 50억 달러(6조6000억 원)어치 선주문, 정부 지원 의혹(출처: 아주경제, 2023년 8월 10일).
  • 일본: 후가쿠(442PF, 2020년 1위)는 AI와 기후 연구에 활용되며, 2025년 차세대 업그레이드 계획(출처: 연합뉴스TV, 2025년 5월 14일).
  • 유럽: 이탈리아의 HPC6(607PF, 5위)는 AI와 생물정보학 중심(출처: EBN, 2025년 5월 14일).

글로벌 투자는 막대하다. 미국은 2024년 AI 민간 투자 1090억8000만 달러(62% 증가), 중국은 92억9000만 달러(28% 증가)다. 반면, 한국은 13억3000만 달러로 4.3% 감소했다(출처: 이데일리, 2025년 5월 14일).

코믹 포인트: 미국이 “엑사플롭스로 우주 계산까지!”라며 자랑할 때, 한국이 “600PF로 AI 먼저 살리고 올게!”라며 뛰어가는 모습!

한국의 슈퍼컴 현황과 AI 연구의 갈증

한국의 슈퍼컴 5호기(누리온)는 2018년 도입 당시 TOP500 11위(25.7PF)였으나, 2024년 92위로 밀렸다(출처: 헤럴드경제, 2025년 5월 14일). 사용률은 평균 77%, 최대 90.1%로 과부하 상태다. 2021년 과제 지원률은 51%로, 연구자가 요청한 10시간 중 5.1시간만 제공됐다(출처: 동아사이언스, 2022년 9월 27일). AI, 빅데이터 연구 수요가 5년간 49배 증가했으나 자원은 3.2배 늘었다(출처: 디지털타임스, 2023년 4월 2일).

공공 부문의 고성능 GPU 인프라 부족은 심각하다. 연구자들은 고가의 GPU를 개별 구매하거나 해외 클라우드(예: MS 애저)를 사용, 비용과 데이터 유출 리스크를 감수한다(출처: 뉴스1, 2025년 5월 14일). 6호기는 자원의 40%를 기초·원천 연구, 20%를 공공·사회 현안, 20%를 산업 활용, 20%를 공동 활용에 배분하며, AI 연구에 30%를 우선 할당한다.

코믹 포인트: 연구자가 “GPU 없어 AI 연구 막혔어!”라며 한탄하자, 6호기가 “8496장 GPU로 구해줄게!”라며 달려오는 장면!

시사점과 한국의 나아갈 길

슈퍼컴 6호기는 한국 AI 연구의 갈증을 해소할 기회지만, 지연과 활용 기간 단축은 과제다. 글로벌 동향과 비교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1. 예산 확대와 안정적 투자: GPU 가격 폭등으로 6호기 예산이 53% 증액됐다. 글로벌 경쟁(미국 1090억 달러, 중국 92억 달러)에 대응하려면 연 1조4600억 원 규모 추가경정예산 같은 지속적 투자가 필요하다(출처: @DrNHJ, 2025년 5월 13일). 예비타당성조사 등 행정 절차 간소화도 필수다(출처: 아주경제, 2023년 8월 10일).
  2. 글로벌 협업과 기술 자립: HPE 계약은 성공적이나, 한국은 GPU(엔비디아 의존)와 네트워크 기술을 해외에 의존한다. 제3차 국가초고성능컴퓨팅 육성 기본계획(2023~2027년)에 기술 자립과 인재 양성을 포함해야 한다(출처: 디지털타임스, 2023년 4월 2일). KAIST의 글로벌 벤처빌더 같은 협력 모델을 확산시켜야 한다(출처: 헬로디디, 2023년 7월 4일).
  3. 활용 기간 최적화: 6호기 교체 주기를 5년 이내로 단축하려면, 2028년경 엑사플롭스급 7호기 계획을 준비해야 한다. 전기요금(연 200억 원 예상)과 15MW 전력 수급도 안정화해야 한다(출처: ZDNet Korea, 2025년 5월 14일).
  4. AI 연구 생태계 강화: 6호기의 30% AI 자원 배분은 긍정적이지만, 대학·연구소·기업 간 데이터 공유 플랫폼(예: KISTI 공공 클라우드 센터)을 활성화해야 한다(출처: scienceon.kisti.re.kr, 2023년). AI 신약 개발처럼 협업 부족이 문제인 분야와 연계도 중요하다(출처: 이데일리, 2025년 5월 14일).
  5. 글로벌 순위 유지: 6호기는 2026년 10위권 진입이 가능하지만, 미국·중국의 엑사플롭스급 투자 속도를 고려하면 2028년엔 20위권으로 밀릴 수 있다. 과기정통부는 추가 인프라 도입을 계획 중이며, 민간(삼성, SK하이닉스)과의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출처: EBN, 2025년 5월 14일).

한국은 6호기로 AI 연구의 물꼬를 트지만, 글로벌 경쟁에서 살아남으려면 예산, 기술, 협업, 인프라의 전방위 혁신이 필요하다. 2030년 엑사플롭스 시대를 대비해 지금부터 전략을 세워야 한다.

코믹 포인트: 6호기가 “세계 10위로 간다!” 외치자, 연구자가 “GPU 더 달라고, 엑사플롭스까지 가자!”라며 박수 치는 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