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와 경제 107

한국은행, 집값·가계부채에 쫄아서 금리 동결! 8월에나 깎을까?

출처: 파이낸셜뉴스 (원문: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4/0005375456, "집값·가계부채에 숨고르는 한은… '8월 추가인하 가능성' [금리인하 속도조절]", 2025.07.10.)내용 정리: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2025년 7월 10일 기준금리를 연 2.50%로 동결했다. 수도권 아파트값이 로켓처럼 치솟고, 가계부채가 눈덩이처럼 불어나자 한은이 “우린 좀 무서워!” 하며 브레이크를 밟은 거다. 그래도 경제가 너무 처지니까 8월에 금리 깎을지도 모른다고 슬쩍 흘렸다. 주요 내용을 좀 뻥튀기해서 정리해보면:금리 동결의 이유: 집값과 빚쟁이들 때문2024년 토지거래허가제가 풀리면서 수도권 부동산이 불타올랐다. 아파트값이 “내가 하늘을 뚫어!” 하며 오르니..

도시와 경제 2025.07.10

한국은행 보도자료 분석: 2025년 6월 이후 국제금융외환시장 동향

문서 요약제목: 2025년 6월 이후 국제금융외환시장 동향출처: 한국은행 보도자료, 공보 2025-07-04호발행일: 2025년 7월 9일 (7월 10일 조간 배포)문서: [한국은행 보도자료] 2025년 6월 이후 국제금융외환시장 동향-복사.pdf한국은행(BOK)의 이 보고서는 2025년 6월 이후 국제 및 국내 금융·외환 시장 동향을 분석하며, 금리, 주식 시장, 환율, 국내 외환 활동에 초점을 맞춥니다. 주요 내용을 아래에 정리했습니다. I. 국제금융시장 동향금리:글로벌 금리는 경제지표 부진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인하 기대 강화로 하락했습니다.미국에서는 연준 인사들의 발언(6월 20일 Waller, 6월 23일 Bowman)이 금리 인하 기대를 강화했으며, 일본은 경기 둔화 신호로 금리..

도시와 경제 2025.07.10

카카오 2024년 경제적 파급효과: 상세 분석 및 비판적 검토

기사: 조선비즈 카카오 “작년 19조1000억원 생산유발효과 창출… 5만4000명 고용 유발”(2025.07.09) 카카오 2024년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과 비판 항목 세부 내용비판적 검토생산유발효과 (19.1조 원)- 모빌리티(3조 원 거래액), 콘텐츠(1.2조 원), 금융(120조 원), AI 데이터센터(6000억 원)로 산업 활성화. - 3년 누적 51.4조 원.- 중복 계산 우려: 직접/간접 효과 구분 불명확. - 수도권(판교, 남양주) 편중, 지방 경제 기여 미흡.부가가치유발효과 (9.1조 원)- 영업이익(6000억 원), 임금(1조 원), 창작자 수익(5000억 원), 세금(2000억 원). - 3년 누적 24.5조 원.- 과대 추정 가능성: 매출(8.2조 원) 초과. - 소득 불균형: ..

도시와 경제 2025.07.09

3개월 새 바뀐 트럼프 관세 끝자리 맞추기

출처: 머니투데이, 변휘 기자, 입력 2025.07.08. 오전 10:09, 수정 2025.07.08. 오전 11:40URL: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8/0005218388 주요 내용:2025년 7월 7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는 한국을 포함한 14개 무역 상대국에 새로운 상호관세율을 통보했다. 이는 2025년 4월 2일 발표된 관세율과 비교해 일부 국가에서 변동이 있었으나, 백악관은 세율 변화의 구체적 이유를 설명하지 않았다. 일본은 관세율이 24%에서 25%로 1%포인트(p) 인상되었으며, 이는 14개국 중 관세율이 오른 두 국가(일본, 말레이시아) 중 하나다. 기사는 이러한 관세율 변화가 트럼프의 협상 전략과 임의적 계산에 따른 것으..

도시와 경제 2025.07.08

상업용 부동산 및 보험 전문가로부터의 10가지 부동산 보험 인사이트

출처: Urban Land Institute (ULI), Rosemarie Grant, July 7, 2025URL: https://urbanland.uli.org/resilience-and-sustainability/10-property-insurance-insights-from-commercial-real-estate-and-insurance-executives주요 내용:ULI와 IBHS가 2025년 5월 덴버에서 개최한 ULI Spring Meeting 및 Resilience Summit에서 부동산 및 보험 업계 전문가들이 기후 변화로 인한 자연재해 증가와 이에 따른 리스크 관리 방안을 논의했다. 기후 변화로 인해 1980년대 이후 보험 손실이 10년마다 약 2배 증가했으며, 미국 내 90%의 카운..

도시와 경제 2025.07.08

중국 제조업의 부상, 새로운 위협: '차이나 쇼크 2.0'과 미국 제조업의 위기

출처: MIT Technology Review, 2025년 7월 7일, David Rotman 기사.내용 요약:2013년, MIT 노동경제학자 데이비드 오토르(David Autor)와 동료들은 2000년대 초 중국과의 무역 확대가 미국 제조업에 끼친 파괴적 영향을 밝힌 연구를 발표했다. 이른바 “차이나 쇼크”는 중국의 저가 수입품 급증으로 2011년까지 미국 제조업 일자리 100만 개, 전체 일자리 240만 개가 사라진 결과를 낳았다. 이 연구는 특히 섬유, 가구 제조업이 집중된 사우스 애틀랜틱과 딥 사우스 지역의 경제적·사회적 황폐화를 드러냈다. 당시 주류 경제학은 자유무역이 전반적 번영을 가져온다고 주장했지만, 이 연구는 지역사회에 미친 집중적 피해를 입증하며 보호주의와 트럼프의 관세 정책, 제조업 ..

도시와 경제 2025.07.07

5월 미국 경제학자 스냅샷: 관세, 지연, 그리고 상승하는 건설 비용

출처:Urban Land Institute (ULI), UrbanLand 웹사이트링크: https://urbanland.uli.org/capital-markets-and-finance/may-economist-snapshot-tariffs-delays-and-rising-construction-costs저자: Beth Mattson-Teig게시일: 2025년 5월 13일주요 내용:무역 정책 변화:미국은 5월 8일 영국과 첫 무역 협정을 체결하며 글로벌 무역 재편에 진전. 그러나 4월 5일 발효된 모든 국가에 대한 10% 기본 관세와 추가 상호 관세(중국 포함, 90일 유예)로 불확실성 지속.미국과 중국 간 임시 무역 협정으로 중국 수입품 관세가 145%에서 30%로 90일간 감소, 무역 긴장 완화.상업용..

도시와 경제 2025.07.06

ULI 경제 전망: 단기적 걸림돌에도 불구하고 미국 부동산 전망은 긍정적

출처:Urban Land Institute (ULI), UrbanLand 웹사이트링크: https://urbanland.uli.org/capital-markets-and-finance/ulis-economic-forecast-real-estate-outlook-remains-positive-despite-near-term-speed-bumps저자: Beth Mattson-Teig게시일: 2025년 5월 15일주요 내용:경제 전망:ULI의 제27차 부동산 경제 전망은 2025년 단기적 변동성과 성장 둔화를 예상하며, 2026~2027년에 개선 전망.2025년 GDP 성장률은 2024년 대비 150bp 하락한 1.3% 예상. 새로운 관세 정책으로 불확실성 증가, 미국 평균 관세는 1937년 이후 최고인 16..

도시와 경제 2025.07.06

REITs Offer Insights into Tariff Impacts (리츠가 관세 영향에 대한 통찰을 제공하다)

출처: Urban Land Institute (ULI), UrbanLand 웹사이트링크: https://urbanland.uli.org/development-and-construction/reits-offer-insights-into-tariff-impacts게시일: 2025년 6월 30일 기준 뉴스레터 주요 내용:관세의 영향: 미국의 트럼프 행정부 하에서 제안되거나 시행된 관세는 철강, 알루미늄 등 건설 자재 비용을 증가시켜 부동산투자신탁(REITs), 특히 개발 관련 리츠에 영향을 미침. 물류 창고를 운영하는 산업 리츠는 수입품 관세로 인해 물류 공간 수요가 감소할 가능성 있음.부문별 영향: 글로벌 공급망에 의존하는 소매 및 산업 리츠가 가장 큰 영향을 받음. 예를 들어, 중국산 제품에 대한 높은 관..

도시와 경제 2025.07.06

2025년 7월 국제 원자재 시장 동향: 주요 내용과 한국에 주는 시사점

참조 자료:국제금융센터, "[25년 6월 국제 원자재시장_국제유가, 중동 불확실성 해소 전까지 변동성 장세에 대비할 필요]", 2025년 7월한국은행, "[2025년 하반기 미국경제 전망 및 주요 이슈]", 2025년 6월산업연구원, "[국내기업의_인공지능_활용과_정책과제]", 2024정보통신정책연구원, "[ICT 산업 중장기 전망(2025~2029) 및 대응전략]", 2024년 12월주요 내용: 2025년 6월 국제 원자재 시장 동향국제금융센터의 보고서를 바탕으로 2025년 6월 국제 원자재 시장의 주요 동향과 전망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원자재 시장 전반S&P GSCI 지수: 6월에 3.5% 상승하며, 에너지 부문(6.9%)이 지수 상승을 주도했다. 연간으로는 -1.2% 하락하며 약세를 보였다.부문별..

도시와 경제 2025.07.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