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 140

전통적인 지열 에너지 (Conventional Geothermal)

국제에너지기구(IEA)의 "The Future of Geothermal Energy" 보고서 중에서 제1장: 전통적인 지열 에너지 (Conventional Geothermal)를 요약 정리합니다. 1. 총 지열 에너지 사용 (Total Geothermal Energy Use)지열 에너지는 건물의 난방과 냉방, 전기 생산, 에너지 저장에 직접 사용되는 재생 가능 에너지 자원이다. 2023년 기준, 지열 에너지는 전 세계 에너지 수요의 약 0.8%를 차지하며 총 5엑사줄(EJ)의 에너지를 공급했다. 이는 깨끗한 에너지원 중에서 해양 에너지 다음으로 가장 적게 사용되는 에너지원이다. 비교하자면, 현대 바이오에너지는 7%, 수력·원자력·풍력·태양광은 각각 1~3%를 차지한다. 지열의 글로벌 비중과 주요 국가: ..

에너지 2025.04.29

지열 에너지의 미래: 땅속에서 끓는 뜨거운 꿈

국제에너지기구(IEA)의 "The Future of Geothermal Energy" 보고서 중에서 전체 요약, 정책 추천, 도입 부분의 내용을 요약하여 정리하였다. 지열은 태양열이나 풍력같은 재생에너지 이다. 간헐적 단절도 없다. 관련 내용을 살펴본다. 1. 지열 에너지, 왜 지금 빛을 발하나? (보고서 3~5쪽 요약)지열 에너지는 지구 깊은 곳에서 나오는 열을 이용해 전기, 난방, 냉방을 책임지는 재생 가능 에너지의 숨은 조연이다. 100년 넘게 사용해왔지만, 전 세계 에너지 수요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아직 1%도 안 되는 풋내기 수준이다. 그래도 최근 새로운 기술들이 이 조연을 주연으로 올려놓으려 하고 있다.기술 혁신의 마법: 석유·가스 산업에서 갈고닦은 수평 시추, 수압 파쇄 같은 기술들이 지열 자..

에너지 2025.04.29

ARPA-E 에너지 혁신 서밋 2025: 미래 에너지의 불꽃을 쏘다!

2025년 3월 17일부터 19일까지 미국 워싱턴 D.C. 근교의 Gaylord National Harbor에서 열린 ARPA-E 에너지 혁신 서밋은 에너지 혁신의 올림픽이라 불러도 손색없는 자리였습니다. 2,800명 이상의 과학자, 기업가, 엔지니어, 투자자가 모여 "에너지의 미래를 Forge(만들다)!"라는 슬로건 아래, 탄소 배출을 줄이고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기술들을 선보였죠. MIT Technology Review가 이 서밋에서 주목한 기술들을 중심으로, 약간의 코믹한 에너지를 뿌리며 요약과 시사점을 정리해 보겠습니다.1. 주요 기술 요약: 레이저, 배터리, 그리고... 암석 연료?1.1 Limelight Steel: 레이저로 철강을 녹이다무엇?: 스타트업 Limelight Steel은 철광석을..

에너지 2025.04.29

AI와 인간 창의성의 만남: 세 권의 책이 말하는 기계와 인간의 이야기

(출처: MIT Technology Review, 2025년 4월 11일, https://www.technologyreview.com/2025/04/11/1114266/artificial-intelligence-book-reviews-vauhini-vara-david-hajdu-pria-anand/)MIT Technology Review의 기사는 인공지능(AI)이 인간의 창의적 과정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를 탐구하는 세 권의 책—바우히니 바라(Vauhini Vara)의 Searches: Selfhood in the Digital Age, 데이비드 하이두(David Hajdu)의 The Uncanny Muse, 프리아 아난드(Pria Anand)의 The Mind Electric—를 리뷰하며, AI의 기술..

도시와 문화 2025.04.29

중국 제조업체들이 틱톡에서 바이럴이 되는 이유

(출처: MIT Technology Review, 2025년 4월 28일, https://www.technologyreview.com/2025/04/28/1115876/why-chinese-manufacturers-are-going-viral-on-tiktok/)"바이럴(Viral)"이란 소셜 미디어, 인터넷, 또는 기타 디지털 플랫폼에서 콘텐츠(영상, 이미지, 게시물 등)가 매우 빠르게 퍼져나가 많은 사람들에게 공유되고 주목받는 현상을 말합니다. 트럼프의 관세에 분노한 중국 제조업체들이 미국 소비자들에게 직접 다가가고 있다. 중국 제조업체들의 틱톡 바이럴 현상이달 초 게시된 한 영상이 틱톡에서 수백만 조회수를 기록했다. 파란색 티셔츠를 입은 젊은 중국 남성이 전통적인 차 세트 옆에 앉아 약간 억양이 있..

커머스(Commerce) 2025.04.29

Net Zero로 가는 길: ULI 넷 제로 5개 이니셔티브가 건물 탈탄소화를 이끌다

(출처: Urban Land Magazine, 2025년 4월 25일, https://urbanland.uli.org/resilience-and-sustainability/moving-the-net-zero-needle-uli-net-zero-imperative-advances-building-decarbonization-efforts) ULI(Urban Land Institute)의 넷 제로 이니셔티브(Net Zero Imperative)는 기후 변화에 대응하는 부동산 산업의 선도적 노력으로, 건물의 탄소 배출을 줄이고 지속 가능한 도시 개발을 촉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이니셔티브는 건물의 설계, 건설, 운영 전반에 걸쳐 탄소 중립을 달성하기 위한 전략과 도구를 제공하며, ULI 회원사 및 파트너..

트럼프 관세정책이 미국의 지역 부동산에 미치는 영향

원문 번역: 문앞의 관세: 무역 정책이 지역 부동산에 미치는 영향출처: Urban Land Magazine, 2025년 4월 10일,Tariffs at the Door: How Trade Policy Could Influence Local Real Estate) 변동성의 물결 속에서현 행정부가 제안한 역사적으로 높은 관세는 비즈니스 및 투자자 커뮤니티를 놀라게 했으며, 시장의 격렬한 반응을 불러일으켰다. S&P 500은 4월 2일 이후 일주일 동안 약 10% 하락했다가 관세 중단 소식에 힘입어 강하게 반등했다. 다음 연방준비제도(Federal Reserve) 회의에서의 금리 인하 기대는 헤드라인 뉴스가 빠르게 업데이트되면서 계속해서 요동치고 있다. 이러한 발전과 그에 따른 불확실성은 미국 전역의 경제 활..

도시와 경제 2025.04.29

로스앤젤레스 산불 복구: 허가 절차 개혁으로 재건 속도를 낼 수 있을까?

원문 번역: 화재 복구를 위한 로스앤젤레스의 허가 절차 개혁(출처: Urban Land Magazine, 2025년 4월 26일, https://urbanland.uli.org/resilience-and-sustainability/can-reforms-speed-l-a-s-permitting-rebuilding-after-the-fires)전문가 자격 인증 프로그램으로 복구 노력 가속화2025년 초 로스앤젤레스를 휩쓴 산불은 도시 역사상 최악의 재난으로, 약 1조 5,600억 원(130억 달러)의 피해를 남겼다. 주거용 부동산 약 13,500채가 파괴되거나 손상되었으며, 이미 심각했던 주택 부족 문제를 더욱 악화시켰다. 복구를 위해 로스앤젤레스 시와 카운티는 빠른 재건이 필요하지만, 기존의 느리고 복잡한..

트럼프 관세정책의 파도: 미국, 글로벌, 한국 부동산 시장의 운명

2025년 4월 29일, 건주포럼 조찬모임에서 최민성이 발표한 “트럼프 관세정책과 한국 부동산 시장”을 바탕으로 한 분석 칼럼 입니다. 서론: 트럼프의 관세정책, 글로벌 경제의 판을 흔들다트럼프의 관세정책이 2025년 7월 9일 이후 어떤 방향으로 나아갈지, 전 세계가 숨을 죽이고 지켜보고 있다. 강화될까, 완화될까? 이 질문은 단순한 무역 정책을 넘어 미국, 글로벌, 그리고 한국의 인플레이션, 금리, 경제성장률을 뒤흔들며 부동산 시장의 미래를 좌우한다. 문서(최민성발표250429 건주포럼조찬모임 트럼프관세정책과 한국부동산시장.pdf)는 트럼프의 관세정책이 글로벌 경제와 한국 부동산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며, 투자자들에게 “도전과 기회”라는 양날의 칼을 제시한다. OCR 오류로 일부 내용이 불명확하..

도시와 경제 2025.04.29

미국 발티모어 하버플레이스 재개발 이야기

(출처: Urban Land Magazine, 2025년 4월 25일, https://urbanland.uli.org/development-and-construction/baltimores-harborplace-reimagining-large-scale-urban-design-and-development-on-the-citys-waterfront)한 세기 전, 발티모어의 워터프론트는 항구 노동자들의 땀과 기름 냄새로 가득한 산업 중심지였다. 1700년대에 농업 중심의 무역항으로 시작된 이곳은 시간이 흐르며 점차 쇠퇴했다. 그러나 1970년대, 발티모어는 대규모 도시 재생 프로젝트를 통해 이 낡은 항구를 관광과 상업의 중심지로 변모시켰다. 그 결과물이 바로 '하버플레이스(Harborplace)'다. 미국건..